본문 바로가기

북리뷰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전쟁 - (2) 로스차일드 1. 오스트리아의 자금 조달 오스트리아제국은 금융과 관련해서 로스차일드와 뗄 수 없는 관계였습니다. 제임스 로스차일드의 조카 안셈은 1861년 오스트리아제국 평의회 금융위원회의 위원에 임명되었고, 이에 앞서 1855년에 오스트리아에서 크레디탄슈탈트를 설립했습니다.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큰 은행) 하지만 오스트리아가 이탈리아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로는 금융 거래에 신중을 기하고 있었습니다. 안셈은 로스차일드로부터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1863년에는 반로스차일드 은행과 프랑스의 크레디트 모빌리에 등에게 손을 벌려 신디케이션으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한편 오스트리아가 1859년 이탈리아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제임스 로스차일드는 연체가 발생하고 있는 일부 오스트리아 거래를 청산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는.. 더보기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전쟁 - (1) 1.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은 독일통일전쟁 또는 북통일전쟁이라고도 합니다. 워털루 전투 이후 독일에는 독일연방이 창설되었습니다. 독일연방은 오스트리아제국, 프로이센, 바이에른, 작센, 하노버왕국, 홀슈타인공국, 프랑크푸르트시 등 총 39개의 회원국으로 이루어졌습니다. 1866년 발생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은 동부전선(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남부전선(오스트리아-이탈리아 전쟁), 서부전선(프로이센의 마인 원정)에서 치러진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 및 이탈리아의 전쟁입니다. 독일연방 내 주도권 장악을 둘러싼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 분쟁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영유권 다툼에서 촉발되어 프로이센의 홀슈타인 점령과 더불어 시작되었습니다. 2. 로스차일드 가문 로스차일드는 오래전.. 더보기
로스차일드 가문과 유럽의 역사 - 오스트리아 유럽은 빈 체제 이후 크고 작은 전쟁이 계속되었습니다. 1850년대부터 1860년대에는 전반적으로 돈이 부족한 나라들이 많았습니다. 1860년대까지 채무가 많은 국가 중 대표적인 국가는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였습니다. 오스트리아 정부에 자금을 대는 은행은 개인은행이 대부분이었는데 대표적인 은행이 프랑크푸르트에 소재한 베트만방크였습니다. 베트만방크는 무역업을 겸해 은행업을 영위했는데 오스트리아 정부가 18세기 말 대출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때 신규 자금을 조달해 도와주었습니다. 빈 체제 이후 그 역할은 로스차일드의 빈 하우스가 차지하게 됩니다. 1835년 로스차일드 빈 하우스의 설립자인 살로몬 메이어 로스차일드는 빈 회의 의장인 메테르니히로 하여금 오스트리아에서 유대인의 부동산 취득을 허용하게 만들 .. 더보기
미국의 개인은행 - jp모건, 쿤롭 미국의 개인은행은 남북전쟁이 끝난 후 19세기 말에서 20세기에 걸쳐 크게 발전합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개인은행으로는 쿤롭사와 제이피모건사가 있습니다. 1. 쿤롭사 신시내티에서 의류상을 시작한 독일 이민자 출신인 아브라함 쿤과 살로몬 롭에 의해 1867년 자본금 50만 달러로 뉴욕에 설립되었습니다. 쿤롭사를 대표하는 인물인 폴와버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를 만든 인물 중 하나이고, 제이콥 쉬프는 쿤롭사를 글로벌 금융 그룹의 반열에 올렸으며 러일전쟁 때 일본에 전비를 조달해 주어 일본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게 한 결정적인 인물입니다. 2. 제이피모건사 1871년 존 피어폰트 모건이 오스트리아 이민자 앤서니 드렉셀과 함께 설립하였습니다. 처음 명칭은 드렉셀 모건사 였습니다. 피어폰트 모건은 남북전쟁이 발발했을.. 더보기
미국 남북전쟁의 원인과 경과는? 18세기 미국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미국은 1784년 처음 시험적으로 면화를 수출한 이후 수출 물량이 1800년 약 1,000만 파운드, 1830년 약 1억 파운드, 1840년 8억여 파운드 그리고 1850년에는 20억여 파운드를 수출하였습니다. 1861년 미국은 전 세계 목화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게 됩니다. 남부에서는 드넓은 목화밭에서 대량의 목화를 따기 위해 필연적으로 노예가 필요했습니다. 반면 북부에는 산업자본이 들어서게 됩니다. 제조업체나 은행들은 노예제를 잘못된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860년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공화당 후보 링컨이 16대 대통령이 되면서 남부인들은 링컨이 노예제도를 제한하거나 폐지할 것이라고 우려했고, 남부의 지도자 다수가 연방에서 탈퇴할 것을 주장하.. 더보기
미시시피 회사의 버블 - 프랑스 존 로 이번 글에서는 프랑스의 절대왕정을 조기에 마감시키는데 기여한 희대의 사기꾼으로 불리는 ‘존 로(John Law)’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존 로가 프랑스에 왔을 무렵, 프랑스 왕실은 ‘태양왕’ 루이 14세의 사치스럽고 호화스러운 생활과 수많은 전쟁으로 재정 압박에 시달리고 있엇습니다. 당시 프랑스의 연간 지출은 연간 수입의 두 배를 넘을 정도 였습니다. 존 로는 1705년에 출간한 ‘화폐와 무역에 관한 견해’라는 저서에서 은행권을 발행하면 금.은 통화를 발행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금화는 품질이나 함유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국제 무역에 장애가 되지만 은행이 발행한 증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금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금화보다 은행권이 훨씬 우수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더보기
로스차일드 가문의 성공 역사 이번 글에서는 세계 금융 역사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리게 된 ‘로스차일드(Rothschild) 가문’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워털루 전투 로스차일드 가문은 영국 정부의 전쟁 수행에 필요한 금화를 비밀리에 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유럽 대륙에서 조달 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로스차일드 가문은 막대한 이익을 챙길 수 있었습니다. 1814년 1월 영국 정부는 로스차일드에게 2개월을 시한으로 금화 60만 파운드를 조달하도록 극비리에 지시했습니다. 그해 5월 로스차일드는 120만 파운드의 금화를 영국 정부에 전달해 전비로 사용하도록 하는데 성공합니다. 이탈리아의 엘바섬에 유배되었던 나폴레옹이 1815년 3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 대군을 만들었을 때도 나탄 로스차일드는 즉시 200만 파운드의 금화를 조달.. 더보기
정유 산업 분석 - 에스오일(Feat.투자의 가치) 이번 글에서는 정유 산업 분석에 대해서 고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유 산업에서 회사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정제마진과 재고평가손익의 개념이 있습니다. 1. 정제마진 정제마진은 정유회사가 원유를 수입해서 LPG, 납사, 휘발유, 경유, 벙커C유 등으로 정제한 후 팔고 남는 이익으로 정유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마진이 낮은 벙커C유를 휘발휴, 경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정유업체의 수익성이 달라집니다. 정제마진은 세계 최대 석유제품 소비 국가인 미국과 중국의 정제시설 가동률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 2. 재고평가손익 유가가 상승할 때에는 재고효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유가가 하락할 때는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정유회사에 가장 우호적인 영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