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에서 얻은 정보

투자의 가치 - IT 부품 소재산업(한솔케미칼)

이번 글에서는 주식 투자를 하면서 구체적으로 펀더멘털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펀더멘털 분석은 산업 분석, 기업 분석, 재무제표 분석 등 3가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IT 부품/소재 산업 분석

산업 분석은 개별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의 특성과 전망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1) IT 부품/소재

 

전기전자 업종은 산업의 수요가 성장하더라도 가격 경쟁이 이루어지면서 성장의 과실을 소비자가 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객이 다변화된 업체일수록 기술적인 장벽 혹은 원가 경쟁력에 우위가 있는 업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특정 업체의 주문 물량에 따라 회사가 흔들리지 않을 수 있어 실적의 안정성이 높습니다.

마진이 높으면 기술장벽이 높은 사업, 마진이 낮다면 원가 경쟁력 우위에 있는 업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확실한 계열사 물량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좋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해외업체와 조인트 벤처 혹은 자체 개발을 통해 아이템을 다변화하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2) IT업종에서 호황이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경우는?

 

- 새로운 디바이스가 출현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피처폰에서 스마트폰 등 디바이스의 변화가 있을 때 시장의 수요는 급격하게 성장합니다.

 

- 과점시장의 형성된 경우입니다. 

치킨게임이 종료되고 업계 재편이 마무리되는 경우입니다.

IT제품은 보통 생산규모를 늘릴수록 단위당 생산 원가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더 싸게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

 

치킨게임을 통해 소수만 살아남게 될 경우 남은 업체들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게 되고, 과점 이익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3) IT 부품/소재 기업 예시 - 한솔케미칼

 

한솔케미칼은 반도체 및 LCD 세정제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고순도의 과산화수소는 불순물에 민감해서 장거리 운송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외부 경쟁사가 진입하기 어려운 시장입니다.

한솔케미칼은 QD TV소재, 프리커서 등 수익성이 높은 제품으로 아이템을 다변화하고 있고, 유니랩을 생산하는 테이팩스를 인수하여 반도체, 휴대폰, 2차전지 등 여러 IT소재들을 삼성전자에 납품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