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업 공부

무역 용어 정리 - (1)수입 수출용어

지난 글에서 무역을 하기 위해 해외 거래처를 찾는 과정을 알아 보았습니다.

해외 거래처를 개발하면 이제 구체적인 계약을 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거래처와의 계약서에 등장하는 무역 용어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1. Description(물건의 명세)

무역의 대상이 되는 물건의 명칭과 구체적인 규격, 색상, 특성 등을 포함합니다.

사후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급적 상세하게 물건을 기술하고 수출자가 발행한 카탈로그가 있으면 거기에 명시된 아이템번호 등을 인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Quantity(물건의 양)

주문량과 주문단위를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50 ea, 100 tons, 200 boxes )

주문량을 결정하기 전에 수출자의 포장단위를 확인하고 이에 맞추어야 합니다.

만약 박스 한 개에 10개씩 포장되는 물건이라면 10의 배수로 주문해야 합니다.

3. Price(물건의 가격)

물건의 가격을 단가(Unit Price)와 총액(Amount)로 나누어 표시합니다.

 

4. Trade Term(거래 조건)

거래조건은 물건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발생하는 비용과 위험을 어디까지 수출자가 부담하고 어디서부터 수입자가 부담할 것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보통 실무에서는 국제상업회의소가 제정한 인코텀즈에서 규정한 11가지의 정형거래조건이 사용됩니다.

 

5. Packing(포장)

물건의 특성이나 규격에 적합하며 장거리운송에도 견딜 수 있도록 포장해야 합니다.

개별물건에 대한 포장을 개별포장(individual packing)이라 하고 일정량을 수출용 카톤박스에 포장하는 것을 수출포장(export packing)이라고 합니다.

 

필요시 최종수출포장에 앞서 이너박스를 사용한 중간포장을 거치기도 합니다.

 

6. Shipping Port(선적지)

물건이 선적될 항구 또는 공항을 말합니다.

7. Destination(목적지)

물건이 도착할 장소를 말합니다.

 

8. Shipment(선적기일)

선적이 허용되는 최종시한을 말합니다.

 

9. Payment Term(결제방식)

물품대금을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송금방식과 신용장방식을 주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