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업 공부

무역용어 정리 - (2)거래조건 지난 글에서 기본적인 무역 용어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도 이어서 해외 거래처와의 계약서에 자주 등장하는 무역 용어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편 보기 더보기
무역 용어 정리 - (1)수입 수출용어 지난 글에서 무역을 하기 위해 해외 거래처를 찾는 과정을 알아 보았습니다. 해외 거래처를 개발하면 이제 구체적인 계약을 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거래처와의 계약서에 등장하는 무역 용어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1. Description(물건의 명세) 무역의 대상이 되는 물건의 명칭과 구체적인 규격, 색상, 특성 등을 포함합니다. 사후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급적 상세하게 물건을 기술하고 수출자가 발행한 카탈로그가 있으면 거기에 명시된 아이템번호 등을 인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Quantity(물건의 양) 주문량과 주문단위를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50 ea, 100 tons, 200 boxes 등) 주문량을 결정하기 전에 수출자의 포장단위를 확인하고 이에 맞추어야 합니다. 만약 박.. 더보기
실전 무역과정 - (2)해외 거래처 개발 지난 글에서 무역업무의 과정을 알아 보았습니다. 그 중에서 인터넷으로 거래처를 개발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지난 글 보기 더보기
실전 무역과정 - (1)아이템 선정,해외 거래처 개발 무역을 하려면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이 ‘아이템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무역거래의 대상이 될 아이템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기에 앞서 해당 아이템이 무역거래에 적합한 것인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아이템 선정시 고려할 점 무역거래는 장거리 이동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가격에 비해 무게가 지나치게 많이 나가거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운송료 부담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운송하는 도중에 파손위험이 큰 물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수출포장비를 원가계산에 반영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와 상대방 국가의 수출입 규정상 무역거래가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아이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수입하는 경우에는 수입관세율도 미리 확인해서 수입원가계산에 착오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입관련.. 더보기
물류의 5대 기능 고찰 이번 글에서는 물류의 5대 기능 중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정보처리 기능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물류의 5대 기능은 일반적으로 운송, 보관, 하역, 포장(유통가공), 정보처리의 5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운송기능 차량을 통하여 제품을 이동하는 것으로 물류에서는 공간효율을 창출해줍니다. 생산지역과 소비지역의 상이함을 해결해주기 위해 운송이 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운송은 수송과 배송으로 나누어지며, 수송은 공장에서 물류센터로 운반해주는 장거리 운송의 개념이며, 배송은 물류센터에서 각 점포로 제품을 운반하는 단거리 운송을 말합니다. 2. 보관 기능 물류센터에 제품을 보관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합니다. 물류에서 시간적 효율을 창출합니다. 보관은 생산시점과 소비시점의 상이함을 해결하기 .. 더보기
사업자를 위한 다양한 유통채널 소개 - (1) 유통업자에게 도움되는 유통채널 소개 1. 유통전문 B2B 플랫폼 '온채널' 제조사와 판매사가 직거래하는 유통전문 B2B 플랫폼이다. 온채널의 핵심서비스는 유통마케팅으로, 현재 1만 개의 입점사와 3만 개의 판매사가 온채널에서 활동하고 있다. 온채널에 입점한 제조사는 단기간에 다양한 유통경로를 확보할 수 있어 매출을 올릴 수 있고, 판매사는 경쟁력 있는 고품질 상품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온채널은 제조사와 판매사를 지원하기 위해 유통센터, 마케팅센터, 데이터센터, 무역센터, 창업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2. 영스카이 주요 판매채널로는 45년 동안 계속되어온 20,000여 개의 파트너사를 통한 특판, 판촉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업 MRO 및 폐쇄몰을 통한 삼성, LG, 은행권 등 대기업 관련 특판 상품.. 더보기
OEM ODM 상품의 차이 및 유통채널 입점하기 1.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주문업체가 개발력을 갖춘 제조업체에 제품의 생산을 위탁하면 제조업체는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해 주문업체에게 납품하고, 주문업체는 제품을 유통과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주문업체로부터 제조업체가 제품의 생산 위탁을 받아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 및 생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2.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제조업체의 자기 상표가 아닌, 주문업체가 요구하는 상표명으로 부품 및 완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주문업체로부터 제조업체가 제품 설계도를 받아 제품을 위탁 생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3. 유통 채널에 입점 하려면? (1) 가격 제품의 가격이 유통채널 소비자의 지갑을 열 수 있는 판매가격인지, 유통.. 더보기